2021년 절반이 지났음에도 PC 바이러스는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어 걱정되는데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비용을 요구한다는데요.
10년 넘게 발생 중인 ‘랜섬웨어’
사진, 동영상, 파일 가리지 않고 무작위로
발생시키는 악성프로그램
암호화된 파일은 복호화해야만 정상적
데이터 사용이 가능하다는데요.
복호화를 위해서는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랜섬웨어예방이 더더욱 필요한 부분이라고 해요.
감염되었다면 치료는 가능하겠지만 비용적인 부담으로 인해
중요한 데이터임에도 불구하고 포기하는 경우가 대다수라고 하니
이러한 문제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랜섬웨어예방 중요합니다.
발생하신 분들은 재감염 발생하지 않은 분들은
감염 막기 위해 랜섬웨어예방법 확인 바랍니다.
발생은 보안이 취약한 PC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해요.
최신운영체제 사용해야만 안전한 PC 사용이 가능하다는데요.
윈도 뭐 사용하시나요? 발생하신 분들 대부분이
윈도7이나 XP 사용으로 발생하였다고 하네요.
보통 PC를 새로 구매하지 않는 이상
기존 운영체제 그대로 사용하시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이러한 보안이 취약한 운영체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하네요.
윈도10 사용했음에도 관리가 되지 않아 발생하는 때도 있어요.
윈도10 정품 사용하고 계시는가요?
비정품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으로 정품사용 하신다면,
업데이트는 주기적으로 해주셨나요?
업데이트 주기적으로 해주셔야!
발생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 모르는 분들이 대부분이에요.
그렇다면 최신운영체제 사용만으로
100% 랜섬웨어예방이 가능한가?
그건 또 아니라는데요.
보안이 취약한 PC 강화하더라도 보안이 취약한
web site 통해 발생하기도 한다고 하니
완벽한 예방은 존재하지 않는 걸까요?
많이 발생하고 있는 web site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사진, 동영상, 드라마나 영화, 문서파일, 프로그램, 폰트
같은 무료다운로드하는 공간 불법적인 곳으로
비공식적인 web site 이용 시 실행, 내려받는 순간
PC 사용자도 모르는 사이 악성프로그램 또한
실행되어 컴퓨터 내 모든 데이터가 암호화된다고 하니
이 외에도 메일이나 원격시도로 발생하는 때도 있다고 해요.
공공기관이나 기업으로 속이어 정상적인 척 메일을 보낸다는데요.
이러한 메일 열람 또한 위험하며 이미 보게 된 부분이라면
첨부파일 확장자 자세히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겉으로 보기엔 문서 확장자로 되어 있겠지만
숨겨진 곳에 exe 라는 확장자가 붙어있다고 하니
계산서, 저작권, 자기소개서 이런 첨부파일
절대 실행, 내려받으시면 안 되세요.
이 또한 나도 모르는 사이 악성프로그램은 실행된다고 하네요.
이러한 경로밖에 없는 걸까요?
복호화하신 분들의 얘기만으로 알게 된 경로라고 하는데요.
이 외에도 상당히 많은 부분이 있다고 하니
PC 사용자가 많은 기업의 경우 발생률이 높아,
업무 중단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보안이 취약한 web site 차단으로 랜섬웨어예방
하시는 게 안전하다고 하네요.
PC를 대상으로 발생, 서버를 대상으로 발생
PC를 통해서 서버까지도 감염시키는 부분도 있다고 하니
이러나저러나 데이터는 항상 위험하다고 하네요.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도 중요 자료는
따로 백업해 두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해요.
백업해뒀음에도 불구하고 USB, 외장하드 본체에 그대로 꽂아둔 채
발생하여 백업파일마저 발생한 때도 적지 않다고 하니
항상 따로 보관해두시길 바랍니다.
백업해 두신다면 윈도7이나 XP 사용 문제 되지 않는다는데요.
발생하여도 중요 DATA는 안전하며 포맷만 하면 되기 때문이라네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7.gif)
한번 발생으로 끝이 나는 걸까?
같은 방법으로 PC 사용한다면 재발생되기 마련인데요.
감염됐던 분들 또한 랜섬웨어예방 중요한 부분이라고 해요.
발생한 PC에 이중으로 발생 가능한 사실 알고 계시는가요?
한 가지에 감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것에 감염될 수도 있다는데요.
발생한 부분이라면 확장자가 한가지로 바뀌었는지 확인해보셔야 해요.
두 가지 확장자가 존재한다? 그러면 두 가지 감염됨을 의미하죠.
jdatvfyyr yweufnud kqybvqvod
smvkonndx wghwewwjq stsmdfo
ajqfcbnw hpmqucmmd rfrsqvyfg
bkxxnhycn smtniarzp dwdawflko
kcccnfpvf rgdccpg uwfxmqi
hsxuxap aetyfxud pwfmuvrjn
yqeprmmyx mcjcasgam ylghgjup
ltyaopzu isanjujpg japgduv
owrhmnm mishkas wjjaxupbg
rrlcpihj xkbsmrj diwcllfz
kmieztbn ebapnuooi wxzgcud
dfpkbtgf qfwpqys uveqhmyg
cfpvzmffz kslrakc dqzgyje
tssrlde qxqeamfct qgkufsd
wrbkiwpc nhyiwqv ktusmlzzb
ybtpyku mcwjtgdo
이러한 이중감염 막기 위해 발생 즉시 사용중단 및 PC 전원 OFF
발생 후 북구 방법에 대해 인터넷 검색하다가 또다시 감염된 경우도
발생한 사실을 모르고 사용하다가 이중감염 된 경우가 많으며
이럴 때 복호화는 상당히 어려운 것으로
이중감염 복호화는 진행 안 하는 업체 또한
많다고 하니 주의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복구비용 부담스러워 무료복구툴만을 기다리고 있진 않나요?
지금까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는데요.
만일 복구는 해야 하지만 무료복구툴을 기다리고 계신다면
중요데이터 따로 USB나 외장하드에 옮겨두고
포맷 후 PC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무료복구툴 나오지 않을 경우 전문가 통해 복호화 진행해야 하며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도 복구가 아예 안 될 수도
있다는 부분 알고 계셔야 해요.
랜섬웨어예방 부지런하게 data 관리만 한다면 가능한 부분이라고 해요.
지속해서 백업하시길 권유하고 있으며 그게 어려운 부분이라면
최신운영체제 사용과 업데이트 그리고
발생 경로 유의하여 PC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1688-9234
정직한 복구
복호화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정직한 복구에서 예방 솔루션까지 받아보세요.
'랜섬웨어 데이터 복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랜섬웨어증상이 보인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1.08.09 |
---|---|
stop(스탑)랜섬웨어 meer, piiq, ddsg, nooa, muuq확장자 (0) | 2021.08.06 |
랜섬웨어포맷 & 복구 어떤 결정을 해야 할까? (0) | 2021.08.04 |
랜섬웨어백신 있을까요? 없을까요? (0) | 2021.08.03 |
랜섬웨어복구툴 무료방법 있을까 (0) | 2021.08.02 |